본문 바로가기
이대장의 쉬운 정책설명

한부모가족 지원제도에 대해서 궁금하시지 않나요?

by victorlee1004 2025. 3. 7.
반응형

오래전 한부모가족지원을 받고 싶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받지 못했어요. 특히, 한부가족이다 보니 여러가지 고민이 많았어요. 그러다가 아이들이 어느넛 다 컸네요.내가 받지 못했던 한부모가족지원에 대해 포스팅해봤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래요.

 

 

한부모가족은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여러 가지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부모가족 지원서비스의 종류, 지원 대상, 신청 방법 등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한부모가족 지원제도란?

한부모가족 지원제도는 부모 중 한 명과 미성년 자녀로 구성된 가정이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고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2. 지원 대상 및 자격 조건

일반 한부모가족:

  • 구성: 모(또는 부)와 만 18세 미만(취학 시 만 22세 미만)의 자녀로 이루어진 가정
  • 소득 기준: 가구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63% 이하인 경우

청소년 한부모가족:

  • 구성: 모(또는 부)가 만 24세 이하인 가정
  • 소득 기준: 가구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65% 이하인 경우

소득인정액은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합산하여 산정됩니다.


3. 정부의 지원 내용

아동양육비 지원:

  • 일반 한부모가족: 만 18세 미만 자녀 1인당 월 23만 원 지원
  • 청소년 한부모가족: 자녀 1인당 월 37만 원 지원 (0~1세 영아는 월 40만 원)

아동교육지원비:

  • 초·중·고등학생 자녀에게 연 9만 3천 원의 학용품비 지원

생계비(생활보조금):

  • 한부모가족복지시설에 입소한 가구에 월 5만 원 지원

지원 금액은 2025년 기준이며, 변동될 수 있습니다.


4. 지자체의 지원 내용 및 차이점

각 지자체는 지역 특성에 맞게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대전광역시는 저소득 한부모가족에게 최대 300만 원의 임대지원금을 지원하며, 경기도는 아동양육비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지자체별로 지원 내용과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거주지의 시·군·구청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신청 방법 및 절차

  1. 거주지 확인: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2. 신청서 제출: 한부모가족 지원 신청서 작성 및 제출
  3. 서류 심사: 소득 및 재산 조사 등 심사 진행
  4. 결과 통보: 지원 대상 여부 및 지원 내용 통보

신청 시 필요한 서류나 절차는 지자체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에 주민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한부모가족지원​ #한부모가족지원금 #청소년한부모지원 #한부모가족아동양육비​ #한부모지원프로그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