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장건강관리
척추분리증, 허리통증 아닌 뼈 자체의 구조문제
victorlee1004
2025. 4. 11. 09:47
반응형
아들이 어제 허리아파서 병원갔더니 척추분리증이라고 하길래 알아봤어. ㅜㅜ
척추분리증(척추분리증증후군, Spondylolysis)에 대해 핵심부터 정리해줄게.
이건 단순 허리 통증이 아니고, 특히 청소년 운동선수나 허리를 많이 쓰는 직업군에서 자주 나타나는 척추 뼈의 구조적인 문제야.
제대로 알지 않으면 디스크, 협착증으로 진행될 수도 있기 때문에 조기관리와 운동 습관이 정말 중요해.
🦴 척추분리증이란?
척추뼈(요추)의 뒤쪽에 있는 관절 돌기(pars interarticularis) 부위가
균열되거나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말해. 주로 요추 5번(L5) 부위에서 발생해.
📌 운동 중 반복되는 허리 과신전(뒤로 젖힘) 동작이 원인
📌 성장기 청소년, 체조선수, 골프·야구·역도처럼 허리를 반복적으로 쓰는 사람에게 많음
⚠️ 증상
- 허리 한쪽에 국한된 찌릿한 통증
- 운동하거나 오래 서 있으면 심해짐
-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 ↑
- 일부는 다리 저림, 통증 없이도 진행될 수 있음
- 심하면 **척추전방전위증(척추가 앞으로 밀려나가는 상태)**로 발전할 수 있음
🧪 진단 방법
- X-ray: 기본 검사 / ‘스카치 테리어 강아지 목 끊어진 모습’
- CT: 골절 부위 더 정밀하게 확인
- MRI: 신경 압박 여부 확인
🛠 척추분리증 관리 & 치료 방법
✅ 1) 비수술적 보존 치료 (대부분 해당)
- 운동 중단 및 휴식 (통증 유발 운동 피하기)
- 보조기 착용(허리 보호대)
- 약물치료: 진통제, 소염제
- 물리치료 + 도수치료
- 체형교정, 자세 재교육
- 운동처방: 허리 안정화, 복부 코어 운동 중심
✅ 2) 수술적 치료 (다음 경우 고려)
- 비수술적 치료 6개월 이상 무반응
- 신경 증상 지속(다리 저림, 마비 등)
- 척추가 앞으로 심하게 미끄러질 때
- 청소년 성장기에서 구조 불안정이 심할 경우
🧘♂️ 척추분리증에 좋은 운동
🔹 1. 맥켄지 신전 운동 (McKenzie extension)
📌 통증 감소 및 디스크 탈출방지에 도움
- 엎드린 상태에서 팔꿈치로 상체 살짝 들어올리기
- 심화 시 팔을 펴서 완전히 상체 들어올리기
- 허리는 긴장되지만 통증 없는 선에서 반복
🔹 2. 플랭크 (코어강화)
📌 복근 강화 → 척추 안정성↑
- 등, 골반, 복부를 일직선으로 유지
- 하루 30초 1분씩 23세트
🔹 3. 버드독 자세 (Bird-Dog)
📌 척추기립근 + 복근 밸런스 운동
- 네발자세에서 팔과 다리 반대 방향 들어올리기
- 5초 유지 후 교차 반복
🔹 4. 케겔 + 복식호흡
📌 코어 근육(복횡근, 골반저근) 자극
-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복부와 항문에 힘주고
- 호흡에 맞춰 5초 수축 → 5초 이완 반복
🛑 운동 시 주의사항
❌ 절대 피해야 할 동작
- 허리를 과도하게 뒤로 젖히는 동작 (과신전)
- 무거운 무게로 하는 스쿼트, 데드리프트, 로우잉
- 복부 힘 없이 허리만 꺾는 스트레칭
- 반복 점프/충격이 큰 유산소 운동 (줄넘기, 러닝)
✅ 운동할 때 지켜야 할 원칙
- 운동 전 허리 스트레칭 → 코어 활성화 순서
- 무리한 가동범위보다 안정성 중심
- 통증 생기면 즉시 중단
- 운동 후엔 폼롤러나 스트레칭으로 근육 풀기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