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장건강관리
수전증 단순 노화증상으로 방치했다가 큰일납니다.
victorlee1004
2025. 3. 26. 16:40
반응형
손을 떨면 수전증이라고 하잖아~
수전증은 의도치 않게 손이 떨리는 현상을 말해.
정확한 의학적 명칭은 "손떨림증(Tremor)"이고, 손뿐 아니라 머리, 팔, 다리, 목소리 등도 떨릴 수 있어.
하지만 일상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부위가 손이기 때문에 '수전증'이라 불려.
수전증 단순 노화증상으로 방치했다가 큰병으로 키울수 있어. 조심해야해
✔ 단순한 노화 증상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신경계 질환의 전조일 수 있어.
🧠 1. 수전증의 원인 (Causes)
수전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어.
크게 **기능성(양성)**과 **질환성(병적)**으로 나뉘지.
✅ 기능성(양성) 수전증
- 노화: 노인에게 흔함. 생리적 변화
- 정서적 긴장: 불안, 공포, 분노, 발표 등
- 카페인, 흡연, 피로: 자극 물질이나 피로 누적
- 약물 부작용: 항우울제, 기관지확장제 등
- 유전성 본태성 떨림(Essential Tremor): 가장 흔한 형태. 가족력 있음
⚠️ 질환성(병적) 수전증
- 파킨슨병: 한 손에서 시작, 휴식 시 떨림
- 소뇌질환: 균형 장애와 함께 손 떨림
- 갑상선 기능항진증: 전신 대사 항진으로 떨림
- 다발성경화증(MS), 루게릭병(ALS): 신경 손상 동반
- 뇌졸중 후유증: 특정 뇌 부위 손상 후 발생
📌 2. 증상과 유형 (Types & Symptoms)
유형특징예시
본태성 수전증 | 의도적인 동작 시 손 떨림 | 컵 들 때, 글 쓸 때 떨림 |
파킨슨병 수전증 | 가만히 있을 때 떨림, 한쪽부터 시작 | 손 resting tremor |
소뇌성 수전증 | 목표 지점 가까이 갈수록 떨림 | 물컵 집으려 할 때 점점 떨림 |
생리적 수전증 | 피로, 스트레스 시 일시적 | 잠 못 자거나 긴장했을 때 |
약물성 수전증 | 특정 약 복용 후 발생 | 항우울제, 갑상선약 등 |
🩺 3. 진단 방법 (Diagnosis)
수전증의 정확한 진단은 의학적 감별이 매우 중요해.
단순히 ‘떨린다’고 모든 수전증이 같은 건 아니기 때문이지.
진단 과정
- 병력 청취: 시작 시기, 악화 요인, 가족력 등
- 신경학적 검사: 손떨림 유형 구분
- 혈액 검사: 갑상선 기능, 전해질 이상 확인
- 뇌 MRI 또는 CT: 신경계 손상 여부 확인
- 운동 평가 도구 사용 (TETRAS 등)
🛡️ 4. 치료 및 관리 (Treatment & Management)
✅ 약물치료
- 베타차단제 (Propranolol): 본태성 떨림 1차 선택약
- 항경련제 (Primidone 등)
- 항불안제: 긴장·스트레스성 수전증
- 파킨슨병 치료제: 도파민 계열 약물
⚙️ 비약물적 치료
- 신경차단술 또는 고주파 수술
- 심부 뇌 자극술(DBS): 뇌에 전극 삽입 → 뇌신호 조절
- 작업치료 및 재활치료
- 필기 보조기구, 굵은 손잡이 도구 사용
🍵 생활관리
- 카페인, 술, 흡연 줄이기
- 규칙적인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 고강도 운동보단 가벼운 유산소 위주
- 떨림 심한 손은 지지대 활용
반응형